GME 공매도 전에 자동차가 있었다 (어떻게 140% 쇼트를 치지??)

GME 공매도 이슈로 어딜 가던 GME 얘기네요. 주식을 안 하더라도 저녁 뉴스에서 나오는 것을 피할 수 없을 것 같네요. 헤지펀드와 retail investor의 전쟁입니다. 이유는 다르지만 10년 전쯤에 Porsche와 Volkswagen 사이에 일어난 일을 얘기하겠습니다. Porsche는 Volkswagen에 대한 의결권을 늘리기 위해 VW (Volkswagen)의 주식을 사들이기 시작합니다. VW과 사업 파트너였지만 VW을 컨트롤하고 싶었던 것입니다. Porsche는 주식을 사들이기 시작하고 VW 주가는 올라가기 시작합니다. 2008년 10월 26일 Porsche는 VW 소유 권리를 43%로 올리고 31% 더 올릴 수 있는 options을 획득했다고 발표합니다. 독일 정부는 VW의 20%를 소유하고 있는 상황이라서 이 발표로 free float은 투자가가 팔 수 있는 양은 6%로 줄어들어 버립니다. 쇼트 셀러들은 12.8%를 short sale 했지만 free float은 6%로 줄어들게 됐으며 쇼트 셀러들은 빌릴 수 있는 숫자보다 더 빌린 격이 되어 버립니다. 빌린 것을 한꺼번에 돌려달라고 하면 6주밖에 없는데 12.8주를 돌려줘야 합니다. 불가능한 일입니다. 이 현상을 "mother of all short squeezes"라고 불러지고 short squeeze 포지션을 커버함으로 해서 쇼트 셀러들은 망하게 됩니다. VW의 주식은 당연히 치솟기 시작하고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시가총액을 가지게 됩니다. 자동차 산업이 침체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시가총액이 ATH가 됩니다. 쇼트를 쳤던 헤지펀드는 $30 billion 손실이 생기고 지분 비율을 올린 Porsche는 큰 이윤을 얻게 됩니다. Porsche와 VW에 있었던 일은 Porsche가 기관과 헤지펀드에 큰 손실을 줬고 이번 GME는 retail investor 즉 개미투자자들이 헤지펀드에게 손실을 넘깁니다. GME에 short sale이 140%이 된다고 나오신 거 보셨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