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main

도망갈 때가 아닙니다

S&P 500의 지난 100여 년 역사상 평균 drawdown은 16%가량 됩니다. 10% 이상 하락은 조정(correction)이고 지난 2년 동안 마켓에 길들여진 투자자에겐 충격으로 올수 있지만 주식시장의 한 일부분일 뿐입니다. 주식시장은 평균적으로 4년 중에 3년은 플러스입니다. 4년 동안 투자를 한다면 평균적으로 75% 승산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팬데믹 시기 202년 2월에 30%가 넘는 drawdown이 있었고 2008 금융시장 때 50% 넘는 하락이 있었습니다. 결과는 회복 후 더 높이 올라갔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현재 이 상황도 V자 반등의 결과를 가져다준다는 것은 아닙니다. 아무도 모르죠. inflation의 문제와 이자율의 불확실성, 전쟁 등으로 불안하고 무서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억해야 할 건 지금 일어나는 이슈도 주식시장의 일부분입니다. 지금 본전만 찾으면 주식시장 떠난다고 생각하는 투자자들이 있으리라 봅니다. 본전을 찾을 만큼 주식이 회복한다면 무조건 떠난다는 맘이 욕심으로 인해 바뀔 수도 있고 본전 찾고 떠났다고 해도 그 후 마켓이 엄청나게 상승한다면 높은 가격으로 다시 들어가게 마련입니다. 그냥 두는 것보다 결과적으로 취약적인 상태가 될 확률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지금 일어나는 이슈들은 주식시장의 당연히 일어나는 한 부분이라고 믿는다면 그냥 두시라고 하고 싶습니다. 성장주 페니주를 그냥 두라는 것은 아닙니다. 이런 주식에 돈을 퍼붓는 게 얼마나 위험한 모험인지 많은 분들이 이번에 느끼리라고 생각됩니다. 좋은 우량 개별주들 주가가 매력적입니다. 멀리 생각한다면 이제 슬슬 담을 기회를 봐야 할 거 같습니다. 물론 더 하락할 수도 있지만 신뢰 높은 회사라면 더 add 해서 평단을 내릴 수 있는 기회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도망갈 때가 아닙니다. 

투자 마인드 - 대견한 딸?

Image
대견한 딸? 글을 쓴 지가 꽤 오래된 거 같아요. 여름 동안 워싱턴주 하이킹에 빠져서 시간만 생기면 하이킹을 했습니다. 7월부터 지금까지 평균 3일에 한 번씩 평균 거리는 10.1 마일이라고 나오네요. 하이킹 전념? 한 것도 이유지만 장투가 그렇듯이 간단하고 중복되는 내용들이 많아서 글 쓰는 횟수가 줄어든 것 같습니다. 글 횟수가 줄어도 저는 VTI과 QQQ을 번갈아 가면서 매달 초마다 꾸준히 투자를 해오고 있습니다. 아들 계좌는 물론 어린 딸 계좌도 복리의 힘으로 커가고 있습니다. 어제 금요일은 회사 공휴일이라서 아니라 다를까 워싱턴주에 유명한 하이킹 코스를 새벽 2시에 일어나서 하루 종일 하이킹하다 왔어요. 11시간 동안 20마일 거리와 3200 칼로리를 소모했네요. 밤 8시간 넘는 시간에 녹초가 돼서 집에 돌아왔네요. 아침에 일어났는데 딸이 아빠 아침을 만들어주겠다네요. 반가운 소리. 딸이 계란 깨고 베이컨 굽는 것을 와이프가 옆에서 도와줘서 딸이 만들어준 첫 breakfast를 먹었어요. 간단히 만들었지만 저한텐 너무 근사하게 보였어요. 뭐 아빠의 맘은 다 같겠지만 너무 대견해서 10불을 지갑에서 꺼내서 용돈을 주면서 사탕이던 장난감이던 사고 싶은 거 사고 저축하고 싶으면 하라고 했어요. 생각해 보니 제가 주는 첫 용돈이네요. 용돈 대신 딸 계좌 앞으로 꾸준히 투자해 주고 있는 건 딸은 몰아요. 알게 되면 my little ponies 장난감 사달라고 매달릴게 보이네요. 저는 집에 있는 동안 딸은 하루 종일 사촌과 동물원에서 놀았어요. 집에 돌아온 딸한테 아빠가 준 용돈 썼냐고 물어보니까 동물원에서 캔디를 사 먹었데요. 남은 돈은 8불 정도. 딸이 남은 돈은 저축할 거라고 말하네요. 갑자기 뿌듯. 자랑스러운 딸! 이것 때문에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제가 쓰는 글은 어릴 때부터 아이들에게 저축 정신과 복리의 힘을 가르쳐주라는 내용이 많습니다. 요즘 너무 투기성 투자가 많은 거 같아서 어릴 때부터 건강한 미래를 위한 투자 마인드를 심어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

전설의 고향 + 폭포 하이킹

Image
2주 전 하이킹을 오랜만에 갔더니 필을 받아서 지난 일요일에 또 하이킹 갔습니다. 이번에도 6:50분에 주차장 도착. 날씨가 흐려서 제가 일등으로 주차했네요. 조용하고 새소리도 들리고 좋았습니다. 주차 후 올라갈 때는 노란 선 하이라이트 한 코스로 올라가고 내려올 땐 살구색. 그리고 끝낼까 하다가 파란 선 타고 폭포를 보고 왔습니다. 하이킹 시작하자마자 굽이진 길이 멋있어서 동영상을 찍었어요. 꼭대기까지 올라가면서 아무도 못 봤어요. 날씨가 쌀쌀하고 빗방울도 떨어져서 그런지 등산하는 사람을 한 명도 보지 못했어요. 오르막길엔 땀이 나서 추운지 몰랐는데 평지를 걸을 때 으스스하고 재킷을 입었다 벗었다 하기도 애매했습니다. 1시간쯤 갔을 때 옆에 누가 산을 옆을 끓어놨네요. 농담이고 산사태였겠죠? 근데 아무도 없고 산꼭대기 정도 가니 안개도 끼고 으스스 한 느낌이 들기 시작 나무 사이에서 뭔가 툭 튀어나올 것 같은 느낌 뭐지 더 으스스 해지네요. 하얀 소복 입은 귀신이라도 나올 분위기  꼭대기에 왔습니다. 사진 옆에 암벽인데 여전히 짙은 안개 세상 혼자 있는 분위기. 심상치 않네요.  이 산에는 올라온 적이 없어서 이 암벽을 올라가야 정상인지 아닌지 몰랐어요. 전화기로 보려고 해서 너무 높아서인지 인터넷이 안 터지고 제 속은 터지네요. 물어볼 사람도 없고... 여기까지 왔는데 정상을 못 올라갔다면 나중에 후회할 거 같고 올라가자니 위험한 짓은 아닌지... 고민되네요. 단순히 생각하고 후회할까 올라가기 시작합니다. 근데 이른 아침이고 날씨도 추워서 암벽이 엄청 차갑습니다. 손으로 잡고 올라가지니 손이 감각이 없어집니다. 조금 올라가다 이건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고 올라갈 수는 있겠는데 내려오기가 좀 불안 혹시라도 떨어지면 도움받을 사람도 없고... 다시 내려왔습니다. 그래도 rock climb하던 내가 이걸 포기하다니 하...  내려가기로 결정했는데도 계속 뒤돌아 보게 되네요. 성격상 내려가자니 많이 찝찝하네요. 내려가는데 Lookout이라는 이정표를 보고...

Mailbox Peak 하이킹

Image
Sell in May and go away 흔한 말 있죠. 역사적으로 5월은 하락장이니 팔고 정리해라 이건데 올해는 4월 말 VOO가 $383.57로 시작하고 $386.13으로 5월 장을 마감했네요. 0.67% 상승으로 하락도 상승도 안 했네요. 역시 주식장은 모르는 것이네요. 이번 글은 주식 내용이 아니라 하이킹입니다. 제가 살고 있는 워싱턴의 여름은 정말 환상적인입니다. 시애틀에서 1시간가량만 운전해서 가면 하이킹 코스가 넘쳐나요. 문제는 인기 있는 코스는 파킹도 힘들고 하이킹 코스에 사람이 너무 많다는 거네요. 오랜만에 저 혼자 있게 된 일요일이라서 하이킹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어느 코스를 할까 고민 중 쉬운 거 하라는 말을 듣고 불끈 힘든 거 해야겠다 결정했어요. 6-8시간 걸릴 거다는 소릴 듣고 불끈 4시간 만에 끝내버릴 거라고 각오합니다. 코스 이름은 Mailbox Peak.  새벽 5시에 일어나 준비 6:50분에 도착합니다. 예상대로 주차장은 꽉 찼네요. 0.5마일 정도 더 운전해서 빈자리에 차를 세우고 걷기 시작합니다. 생각보다 하이킹 동안 다른 하이커들은 많이 안 봤어요. 올라가는 동안 거의 혼자서 올라갔습니다. 이 코스는 우거진 나무 때문에 멋진 광경은 즐길 수는 없어서 운동하는 셈 치고 올라갔어요.  올라가는 길에는 이렇게 조그만 다리도 2개를 지나요. 앞만 보고 가다 위로 본 우거진 나무 이렇게 4마일 정도 올라갔을 때 3000 feet  올라왔네요. 올라가다 열린 곳이 한두 군데 있는 풍경 5.5마일 정도 올라가면 마지막 0.5마일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3000 피트 넘게 올라왔는데 포기하고 돌아가라는 듯이 가파른 모습으로 겁을 주네요. 사진으로 실감이 나지 않을지 모르겠지만 제 느낌이었는지는 모르지만 60% 경사진 부분도 있었던 것 같아요. 멀리 I-90도 고속도로도 보이네요.  아래 사진 오른쪽처럼 큰 돌로 계단을 만들어 놓았는데 색다르네요. 솔직 헉헉거리며 올라간다고 제대로 즐기지는 못했어요. 가다 멈추면 영원히 멈출 거 같...

멀리 보는 투자

Image
얼마 전에 Cathie Wood 인터뷰 중 말한 게 기억나네요. FANG주를 현금으로 보호망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했었죠. FANG이 현금으로 생각한다... 그럼 채권은 뭐가 되는 건가라고 웃어 봤습니다. 그때 그 인터뷰는 공감되는 내용도 많았지만 FANG주를 현금으로 생각한다는 내용은 생각을 많이 하게 만들었습니다. 어딜 보던 speculative stocks (투기주), 페니주, 스펙스 얘기들 뿐이었고 FANG주는 답답하다 이거 투자해서 언제 돈 버냐 이렇게 무시를 당하는 상황이었습니다. 몇 달 조차도 지나지 않았는데 지금은 스펙스 얘기는 없어지고 FANG주를 사야 하나 S&P 500 인덱스 펀드를 사야 하나라는 트렌드로 교체되고 있네요. 10년이 훨씬 지난 때였습니다. 그때도 중국주가 유행을 했었습니다. 개별주로 단타 데이트레이딩을 하던 때여서 중국주를 하나 샀고 물렸습니다. 몇 개월 동안 맘 고생하면서 사지도 팔지도 못하고 올라가기만 기다렸던 개별주입니다. 그때 맘 고생이 심해서 요즘 비슷한 상황이 되신 분들이 있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맘을 이해합니다. 저는 매달 월급이 들어오면 기계적으로 월초에 투자를 합니다. 버릇이 돼서 얼른 안 하면 깨름직? 하네요. 인덱스 펀드로 매달 사 왔는데 2020년 연말 때부터 QQQ와 인덱스펀드를 번갈아 가면서 투자를 했습니다. 왜 그랬을까 생각해 보자면 인덱스 펀드의 주 수는 어느 정도 확보가 되어있다고 판단이 되었고 저도 모르게 관심이 많고 직업상 친근한 테크 쪽으로 관심이 가게 된 것 같습니다. 큰 테크주의 침체로 욕심을 부린 것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솔직히 QQQ를 매수하는 달이면 이상하게 인덱스 펀드한테 "죄짓는" 기분이 드네요. 인덱스만 꾸준히 투자를 해도 충분할 텐데 QQQ를 하는 것은 제 시선에서는 욕심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도 TQQQ나 FNGU에 비하면 정말 안전한 투자라고 달랩니다. 그리고 지극히 제 경험상 무작정 장투로 들고 간다고 해서 개별주가 상승한다는 보장이...

자신 합리화

  하락하는 주식인데 사고 싶은 맘이 있다면 벌써 결정은 내려져 있고 "Buy the dip"이라면서 또 무릎에 사서 어깨에 팔면 된다면서 어떤 가격에서든 삽니다. 하락하는 주식인데 팔고 싶은 맘이 있다면 벌써 결정은 내려져 있고 "떨어지는 칼은 잡으면 안 된다" "손절은 냉정히 해야 한다며 어떤 가격에서든 팝니다. 하락하는 주식인데 아무것도 할 용기가 없고 쳐다보고만 있다면 "stay the course" 장투로 가면 언젠간 회복한다면서 쥐고 있습니다. 상승하는 주식인데 사고 싶은 맘이 있다면 벌써 결정은 내려져 있고 손해 보고 있는 주 손절하고 상승하는 주에 올라타야 한다. 트렌드는 따라가야 한다. 물 들어올 때 노 저어야 한다 하면서 삽니다. 상승하는 주식인데 팔고 싶은 맘이 있다면 벌써 결정은 내려져 있고 올라가는 것은 당연히 내려오기 마련이다, 어깨에서 파는 거다, 익절은 항상 옳다, 욕심부리다 손해난다면서 팝니다. 상승하는 주식인데 아무것도 할 용기가 없고 쳐다보고만 있다면 "stay the course," FOMO에 넘어가면 안 된다며 쥐고 있습니다. 자신 합리화입니다. 단타로 쉽게 큰돈을 만질 상상을 하다 하락하면 장투로 갈 생각이었다며 호재 뉴스를 찾아다닙니다. 하지만 단타로 큰 상승을 바랬다면 이미 그 주식은 투기 주일 확률이 높고 투기 주는 장투에 적합하지 않은 것을 알면서도 부정합니다. 다른 투기 주가 올라간다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투기 주가도 언젠간 올라갈 거라고 믿습니다. 간절히 원했던 그 투기 주 중에 하나가 올라가기라도 하면 자신의 믿음은 더 커지고 다른 투기 주도 똑같이 올라갈 거라고 믿게 됩니다. 이미 손해가 엄청나게 커서 갈아타지 못한다. 인덱스는 너무 더디게 올라간다. 인덱스도 하락을 피하진 못한다. 손해가 임 너무 엄청 크다면 욕심 미련 심리적인 부정 등의 이유로 계속 들고 있었던 것이고 갈아타긴 이미 늦었다. 한방만 크게 상승하면 팔고 원금만...

높은 언덕

Image
주식과 상관없는 글입니다. 코비드 전에는 꾸준히 운동하는 것이 버릇이 되어 있었습니다. 회사에 있는 gym에서 점심시간에 한 시간 운동하면서 규칙적인 생활은 코비드 후 재택근무의 시작으로 사라져 버렸고 이직으로 바쁘다는 이유 (핑계)로 집 사무실에서 하루를 보내게 됩니다. 운동은 멀어지고 냉장고는 가까워집니다. 계속 반복되며 주말에도 집에서 시간을 보내게 되니 활동량은 다운 체중은 업. 코비드 전 10년 넘게 일주일 최소 5일은 운동, 시애틀 화창한 여름엔 햇빚을 즐기면서 일주일에 3번씩 달리기도 했었어요. 6-8마일 정도 뛰었는데 재택근무 후 계단을 조금만 올라도 숨은 가팔라졌습니다. 운동해야지 자신에게 약속을 했지만 계속 약속을 어기게 되고 죄책감이 밀려서 먼지가 쌓일 정도로 곱게 모셔둔 운동복을 입고 나가 뛰어도 고작 2마일을 못 뛸 정도로 힘이 듭니다. 초라하다. 너무 힘들고 뛰기도 싫어서 한두 번 하고 그만둡니다. 운동을 안 하는 게 일상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러던 중 아들이 달리기를 꾸준히 하는 것을 보고 따라 나갔습니다. 동네 가까운 언덕이 하나 있는데 저를 앞질러 올라가더군요. 아들한테 질세라 힘을 다해 따라갔지만 언덕 반도 못 올라가고 아들은 멀리 점점 멀어집니다. 아들은 집에 먼저 도착해서 스트레칭하고 있고 전 헐떡거리면서 기어서 집에 도착합니다. 저 언덕을 어떻게 한 번도 안 쉬고 올라가지? 불가능한 일인데... 집에 와서 google map을 보고 거리를 재봅니다. 0.17마일 정도에 불가하고 평균 7도라고 나오는데 느낌은 45도 같습니다. 도저히 안 멈추고 못 올라갈 언덕입니다. 두려워서 미루던 정기 체력 검사를 갔습니다. 의사가 보더니 살을 빼라고 합니다. 작년과 몇 파운드 차이 안 나는데도 하라고 합니다. 기분 좋게 안 들리더군요. 집에 와서 기분 나빠하다 그래 두고 보자. 다시 운동한다고 결심합니다. 운동할 때 매일 쓰던 myfitnesspal 앱을 다시 깔고 기록을 시작합니다. myfitnesspal은 Under Armour에서 만...

치타처럼 투자하고 계시나요?

가장 빨리 달릴 수 있는 동물이라면 치타가 제일 먼저 생각나죠. 치타는 폭발적인 스피트로 70 mph, 시속 100킬로미터가 넘게 가는 속도도 달릴 수 있습니다. 근데 이 속도는 30초밖에 유지하지 못합니다. 스태미나 부족으로 이렇게 뛰고 나면 30분 휴식을 해야 합니다. 반면에 Pronghorn 한국말로 찾아보니까 가지뿔영양이라고 나오네요. 이 동물은 60mph (시속 100킬로미터)로 달릴 수 있다는데요 45mph (72kph)의 속도를 30분 동안 유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마라톤을 45분 만에 끝내버리는 속도입니다. 최고 스피트는 아니지만 좋은 스피드를 긴 시간 동안 지속시킬 수 있는데 최고 빠른 동물이 뭐냐고 하면 당연히 치타가 떠오르고 들어보지도 못한 pronghorn은 찬밥 신세입니다. 이렇게 빠르고 스태미나가 좋은 이유는 북미에서 멸종된 dire wolf라는 늑대가 이유라고 합니다. 이 늑대는 수십 마일을 달릴 수 있었는데 이 늑대들에게 먹잇감이 되지 않으려면 pronghorn은 스피드와 스태미나를 길러야지 생존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쫓기고 쫓는 반복적인 시간 속에서 이 dire wolf는 멸종하게 되고 치타는 생존이 위기롭다고 합니다. 반면에 pronghorn은 생존을 최고 오랫동안 해온 동물 중에 하나라고 합니다. 주식 시장도 지금 유행하고 있는 주, 몇십 프로 수직 상승하는 테마주, SPAC 주, 페니주 등을 쫓아다니고 싶은 유혹은 항상 있습니다. 뉴스도 당연히 이렇게 선풍적인 주식들을 다룹니다. 펜더멘틀이 강하고 경기가 어떻던 견디면서 계속 성장한 개별주나 인덱스들이 있습니다. 선풍적이지는 못하지만 지속적으로 생존하면서 이익을 가져다주는 회사들이겠습니다. 여러분은 치타와 pronghorn 두중에 어떤 동물을 선택하시겠습니까? 소스: breaking the market: invest like a pronghorn

GME 공매도 전에 자동차가 있었다 (어떻게 140% 쇼트를 치지??)

Image
GME 공매도 이슈로 어딜 가던 GME 얘기네요. 주식을 안 하더라도 저녁 뉴스에서 나오는 것을 피할 수 없을 것 같네요. 헤지펀드와 retail investor의 전쟁입니다. 이유는 다르지만 10년 전쯤에 Porsche와 Volkswagen 사이에 일어난 일을 얘기하겠습니다. Porsche는 Volkswagen에 대한 의결권을 늘리기 위해 VW (Volkswagen)의 주식을 사들이기 시작합니다. VW과 사업 파트너였지만 VW을 컨트롤하고 싶었던 것입니다. Porsche는 주식을 사들이기 시작하고 VW 주가는 올라가기 시작합니다. 2008년 10월 26일 Porsche는 VW 소유 권리를 43%로 올리고 31% 더 올릴 수 있는 options을 획득했다고 발표합니다. 독일 정부는 VW의 20%를 소유하고 있는 상황이라서 이 발표로 free float은 투자가가 팔 수 있는 양은 6%로 줄어들어 버립니다. 쇼트 셀러들은 12.8%를 short sale 했지만 free float은 6%로 줄어들게 됐으며 쇼트 셀러들은 빌릴 수 있는 숫자보다 더 빌린 격이 되어 버립니다.  빌린 것을 한꺼번에 돌려달라고 하면 6주밖에 없는데 12.8주를 돌려줘야 합니다. 불가능한 일입니다. 이 현상을 "mother of all short squeezes"라고 불러지고 short squeeze 포지션을 커버함으로 해서 쇼트 셀러들은 망하게 됩니다. VW의 주식은 당연히 치솟기 시작하고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시가총액을 가지게 됩니다. 자동차 산업이 침체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시가총액이 ATH가 됩니다. 쇼트를 쳤던 헤지펀드는 $30 billion 손실이 생기고 지분 비율을 올린 Porsche는 큰 이윤을 얻게 됩니다. Porsche와 VW에 있었던 일은 Porsche가 기관과 헤지펀드에 큰 손실을 줬고 이번 GME는 retail investor 즉 개미투자자들이 헤지펀드에게 손실을 넘깁니다. GME에 short sale이 140%이 된다고 나오신 거 보셨을 거예요...

ARK에서 받은 건 배당금이 아닙니다

Image
ARK 펀드를 소유하고 계시다면 2020년 연말에 돈이 들어왔을 거예요. 배당금이 들어왔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으시라 보는데 배당금이 아닙니다. 아래 보시는 것처럼 Transaction type은 Capital Gain(ST)이고 Transaction description은 "Short Term Capital Gains Distribution"이라고 나옵니다. 지난 글에 말씀드렸듯이 ARK 펀드는 active fund이며 사고파는 횟수가 많아서 capital gain을 발생시킵니다. ARK의 대부분의 펀드가 short term capital gain을 발생시킵니다. 그래서 굳이 투자하실 거면 IRA에 투자하시라고 권했습니다. ( https://www.bmlifeinvest.com/2021/01/ark-passive-fund-active-fund.html ) 이것과 달리 S&P 500 인덱스 펀드인 VOO은 배당금을 분배합니다. 아래와 같이 Dividend라고 나옵니다. 배당금과 capital gain을 둘 다 distribution이라고 하는데 어떤 분들은 히스토리 내역에 distribution라는 것을 보고 배당금이구나라고 생각하시는 것 같습니다. Distribution은 배당금이 될 수도 있고 capital gain도 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배당금과 capital gain이 투자자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보겠습니다. 배당금: 배당금은 쉽게 말해서 투자하고 있는 회사가 번 돈을 주주에게 나눠주는 것입니다. "회사에 투자를 해줘서 고맙다. 벌었으니까 주주에게도 나눠줄게"라는 감사의 표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회사 이사회에서 돌려주는 금액과 얼마나 자주 나눠주는지 결정을 하며 분기마다 배당금을 주는 것이 흔하고 일 년에 한 번씩 주는 회사도 있습니다. 개별주 회사에서만 배당금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ETF는 결국 여러 회사를 모아서 만든 것이고 그 ETF에 속해있는 개별 회사가 배당금을 분배한다면 ETF도 배당...

Popular Posts

전설의 고향 + 폭포 하이킹